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etwork
- 문자열
- retropie
- 고전게임
- 웹
- 보안
- 진단항목
- 윈도우 8
- 안드로이드
- 이보드
- 네트워크
- 피들러
- Lenovo D330-10igm
- ubuntu
- WEB
- ASP.NET
- 단열
- 셀프인테리어
- Web Programming
- D330-10igm
- HTML5
- 인테리어
- 우분투
- 한컴오피스
- 고전게임기 만들기
- D330
- 자바스크립트
- 인증 및 세션관리
- fiddler
- c#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97
Kinesis´s Open Document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세션의 이해 - #02 - 앞의 글에서 이어서... (링크 : http://kinesis.kr/entry/초보-웹-개발자를-위한-세션의-이해-01) 그렇다면 우선적으로 세션과 쿠키가 없다면 내가 왔다갔다는 정보나 무엇을 요청했다라는 기록이 남지 않는다는 것인 이해 했다고 보고, 그럼 웹 서비스는 세션이라는 녀석과 쿠키라는 녀석을 어떻게 이용하여 서로를 식별하고 인증했음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일까? 이는 사실상 명찰과 고객명단 과 같은 이미지로서 생각해보면 이해하기가 쉽다. 요컨데 방문하기 전부터 『 나 』 라는 존재를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 명찰 』 같은 것을 준비해 방문하고, 방에 들어서려는 순간 『 내가 언제 어디에서 와서 무엇을 하고 갑니다. 몇일 또는 몇시간 이내에 재 방문..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세션의 이해 - #01 많은 서비스가 웹 플렛폼으로 넘어가고 있다. 따라서 작성되고 있는 프로그램 들 역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속에서 가장 대두되고 중요시되는 것은 보안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세션에 대해 이야기를 좀 늘어놓고자 한다. 초보 프로그래머이든 베테랑의 PC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이든 웹 개발에 들어서면 웹 특징에 대해 가장 먼저 학습을 해야 한다. 어떤 식으료 요청을 하게 되고 어떠한 방식으로 응답이 날아와서 그것을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결과로 보여지게 되는지부터 어떠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고, 로그인이나 인증, 권한 부여등이 이루어지는가. 바로 이것이 웹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가장 기초이자..
패스워드 변경 처리 루틴(알고리즘) ::: in Javascript ( Ajax 를 사용한 경우 ) - 정규식을 통해 비밀번호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 바꿀 비밀번호 및 확인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현재 비밀번호 입력 값 및 바꿀 비밀번호 와 확인 비밀번호를 서버측으로 POST 한다. (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일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ID 값은 전송하지 않고 서버측에서 별도로 확인하도록 한다 ) ※ 각각의 조건에 대해 조건식이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적절한 메세지를 출력하고 프로세스를 중단 및 종료한다. ::: In Server-Side ( with Database ) - Reqeust Referer 주소가 접근 허용된 곳에서 요청된 것인지 확인한다. - 세션이 살아있는지(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회원 또는 사용자 구현시 고려해야 할 요소 # 회원 기본 아이디의 종류, 길이, 형식 을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패스워드의 길이, 형식을 어디가지 허용할 것인가? 패스워드의 암호화 처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 확장 정보 연락처를 어디까지 수집할 것인가? 개인정보를 어디까지 수집할 것인가? 가명을 사용할 것인가? # 권환 기능 그룹으로 묶을 것인가? 개별 권한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그룹 권한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권한의 우선순위를 어디에 둘 것인지? 2012년 10월 09일 정리 - by Kinesis
윈도우8 (Windows 8) 소프트웨어 호환성 목록 호환성 확인된 프로그램 호환되지 않는 프로그램 - 한컴 오피스 2010 - 알약 2.4 공개용 - KMPlayer - Visual Studio 2012 Ultimate - TortoiseSVN (Icon 효과는 X) - VMware Workstation 9 - Winrar - Picpick - Filezilla - uTorrent - 마비노기 ::: 오피스 ::: 백신 ::: 멀티미디어 ::: 개발툴킷 ::: 소스관리 ::: 가상화 ::: 압축 ::: 화면캡쳐 ::: FTP Client ::: P2P ::: 게임 - 크랙실드 (HSLaunch) - V3 365 Standard ::: 크랙 ::: 백신 - 2012년 10월 04일 초안 작성 by Kin..
한글에 블로그 계정 등록(연결)하기 앞서 과정을 통해 『 한글(한컴오피스) 설치 』 에서부터 『 블로그 API 발급 』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앞서 준비한 API 주소를 이용해 한글 프로그램에 블로그를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등록한 블로그를 통해 앞으로 글을 블로그에 포스팅하고, 글감 가져오는 기능을 통해 1인 출판을 하게 될 것이니 잘 참고해주세요. 그럼 한글을 실행하고 시작해볼까요? 한글이 준비되면 상단의 『 도구(K) 』 리본메뉴를 선택합니다. 메뉴버튼을 누르고 나면 상단의 메뉴구성이 변하는데, 그 중에서 『 SNS 서비스 』 의 『 블로그 』를 클릭 합니다. 블로그 등록이 처음인 경우 위와 같이 관리할 블로그 계정이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등록을 묻는 메..
한글과컴퓨터에서 월간 소식지를 만들고 있는 것. 알고 계시나요? 소식지의 명칭은 "똑똑한" 인데, 2012년 5월에 창간되었는데, 제가 부득 늦장을 부려 이제야 소개를 하게 되네요. 다행인 점은 9월호도 발행이 느려서 9월 27일에 발행되었다는 것입니다! 하하하하! 이번 한컴소식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네요. - 기획특집 - 한컴솔루션 : 아시아눅스에서 짐브라까지! -- 한컴이 솔루션을 하는 이유 -- 오피스 줄게 협업솔루션 다오-- 기본 중의 기본, 운영체제 - 한글, 틀리지 마세요! - 한컴제품 이렇게 만들어진다! (S/W 개발프로세스 : 테스트편)- 전격 인터뷰 : 같은 듯 다른 일을 하는 두 사람을 만나다! - 한컴 소식으로 배우는 3분 영어 복습 인터뷰에서는 한컴마스터를 담당하시는 분..
네이버 API 설정하기 우리는 글을 쓰고, 그 글을 블로그에 개제한 뒤에, 소셜 네트워크의 기능을 이용해 글감 가지고 오기를 통해 전자책을 엮어 출판해 낼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블로그를 준비해야 합니다. 그리고 문서 프로그램에서 블로그에 글을 올릴 수 있도록 API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Naver) 블로그의 API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진행에서는 네이버 ID를 보유하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시작함으로 네이버 페이지에 접속을 한 상태를 기준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네이버에 로그인을 한 상태에서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블로그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후 위와 같은 블로그 페이지가 나오면 하단의 『 내 블로그 』 를 클릭합니다. 자신의 블로..
ASP.NET C# 에서 DB(Database)를 이용해 세션을 관리 하는 이유. ASP.NET 환경에서 세션의 구성을 DB로 돌리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개발도중에 세션이 계속 끊기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접속자나 세션의 관리를 좀 더 편히 하기 위함도 있다. 이유야 가지각각 여러가지가 있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개발시 조금 더 편한 개발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 글에는 MSSQL 을 이용한 세션 DB 생성 및 테스트 과정을 담아두고자 한다. 나중에 써먹을려고 볼 때 까먹으면 다시 시간적 소요가 들어가기 때문에 남기며, 또한 그대가서 찾아봤을때, 내가 보았던 게시물이 없어졌을 경우를 위해서도 남기는 글이다. 첫번째로. "명령 프롬프트를" 를 관리자모드에서 실행시킨다. 그럼 보통은 운영..
오늘은 회사 회의시간이 길어져서 늦은 시간에 퇴근... 덕분에 살펴볼 시간이 별로 없어서 내내 고민하던 부분 한가지만을 확인 해 볼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객체 편집시 Clone To Element 의 Edge 와 Polygon 의 차이. 위의 화면은 파인 내부의 벽면을 Polygon 을 가지고 Clone to Element 하여 렌더링 한 모습이다. 보시다 시피 위쪽과 오른쪽 면이 내부에 라이트를 비치했음에도 불구하고 검정색으로 보여지는 문제가 있었다. 왜 그런지 라이트를 이리저리 옮겨보면서 했어도 재대로 보여지지 않아서 이해할 수 없었는데, 이 부분을 혹시나 해서 Edge 를 대상으로 Shift 키를 누른채 이동시켜 Clone to Element 시켜보았다. 이것이 Edge 를 Shift 키를 누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