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보드
- 안드로이드
- retropie
- WEB
- 고전게임
- 셀프인테리어
- D330
- 인증 및 세션관리
- 진단항목
- ASP.NET
- Lenovo D330-10igm
- D330-10igm
- 우분투
- 윈도우 8
- 단열
- 피들러
- 자바스크립트
- 문자열
- Web Programming
- 한컴오피스
- 네트워크
- 웹
- fiddler
- HTML5
- network
- c#
- 보안
- 인테리어
- ubuntu
- 고전게임기 만들기
- Today
- Total
Kinesis´s Open Document
앞서 문자열(String)을 키(Key)를 인덱스로 이용해 값(Value)을 가진 일종의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가볍게 확인해 보았다. Dictionary 라는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통해 마치 배열인것 마냥 문자열 키를 인덱스처럼 써서 값을 대입하거나 사용하는 자체로도 편하지만 활용할 경우에 좀 더 편해질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메세지를 특정 파일안에 담아두고 이를 읽어와 문자열 키와 값으로 묶어 리스트를 만들어 두면 프로그램의 유지보수나 메세지 변경시에 해당 텍스트 내용만 바꿈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전체에 적용할 수 있으니 더욱 편해질 수 있다는 개념으로 말이다. 가령 message_error.msg 라는 이름의 텍스트 파일에 다음과 같이 내용을 작성해 넣었다고 치자. ; ;주석처리 부분 ; Nu..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인덱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값을 가져오거나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객체 중 하나가 바로 배열이다. 하지만 배열은 기본적으로 숫자 인덱스를 통한 접근밖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때로는 문자열을 키로 두고 값을 가져와야할 때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C# 에서는 Dictionary 같은 클래스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 해 볼 수 있다. 우선적으로 Dictionary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네임스페이스와 어셈블리를 사용한다. 네임스페이스: System.Collections.Generic 어셈블리: mscorlib(mscorlib.dll) 그럼 이 Dictionary 를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선 상단에 using 을 이용하여 네임스페이스를 추가해주는 것으로..
한글2010 (또는 한글2007 및 이하 버젼을 포함한) 워드프로세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한글↔영문 간 자동전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 『 dkssudgktpdy 』 라고 입력하고 스페이스키를 누를 경우 자동으로 『 안녕하세요 』 와 같이 영문을 한글로 바꾸어 주거나 『 ㅇㄱㄷ므 』 이라고 치는 경우 『 dream 』 과 같이 한글을 영문으로 바꾸어주기도 하는 기능인데, 이를 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는 『 한영 자동 전환 』 이라고 하여 기본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이 기능이 불편하게 느껴질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자신이 쓰려는 글자가 스페이스키를 누르는 순간 영문이나 한글로 변환이 된다거나, 자동으로 한영이 바뀌는 환경이 익숙치 않은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하는 경..
mshtml.dll 오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충돌 오류로 인해 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흔히 한글 2007 미만 (한글 2007을 포함한 하위 버젼. 한글 2005 등)을 설치하거나 프로그램의 설치시에 jscript.dll 및 vbscript.dll을 설치하는 프로그램 들 중에서 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사용하는 jscript.dll 및 vbscript.dll 파일이 원래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버젼보다 낮은 버젼으로 바뀌어져 있는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한글 2007 미만 제품등을 '먼저' 설치하고 나서 브라우저를 업데이트 하신 분들에게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현상입니다) 가장 간단한 해결 방법으로서는 설치하시고자 하는 프로그램들을 설..
(주)한글과컴퓨터에서 한컴오피스 2010 SE Home Edition ESD 를 저렴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는 이벤트를 기획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2년 3월 2일까지 16,500원에 구매 해 볼 수 있는 기회이니 한컴오피스 제품의 정품을 보유하지 못하신 분이나, 구매 예정이셨던 분들은 이 기회에 구매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매페이지 바로 가기 (쿠팡) (2012년 03월 02일까지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DirectX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를 이용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서는 DirectX SDK 를 설치해야 한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displaylang=en&id=6812 위의 주소로 접속하면 DOWNLOAD 버튼을 통해 최신버젼의 다이렉트X SDK 를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받은 DirectX SDK 를 더블클릭하여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는 "C:\Program Files\Microsoft DirectX SDK (June 2010)" 또는 "C:\Program Files (x86)\Microsoft DirectX SDK (June 2010)" 와 같은 경로에 설치되는데, 필요도에 따라..
웹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니 AjaxPro (Ajax.NET Professional)를 이용해야 할 일이 생겼다. Ajax.NET Professional 의 공식홈페이지에 들어가 7.x 버젼대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어보면 다음과 같이 총 5개의 파일이 나온다. AjaxPro2.dll AjaxPro.dll AjaxPro.JSON.2.dll AjaxPro.JSON.dll web.config 이 파일들 에서 자신이 사용할 1개의 dll 만을 웹서비스 폴더의 Bin 폴더에 넣어주면 되는데, 전부다 넣을 경우 dll이 내부의 함수들의 충돌에 의해 정상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파일명 내에 2 가 적힌 것은 .Net Framework 2.0 의 환경에서 사용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dll 이고 2가 ..
ASP.NET for C# 에서 서비스 중인 웹페이지의 폴더(디렉터리) 경로 얻어오기. 웹서비스에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웹서비스 중인 폴더의 경로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아니,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하지만 이것을 물리적으로 기본 드라이버부터 실제 서비스하고 있는 폴더 명칭까지 일일이 적기에는 다소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서비스 하는 폴더명칭이 바뀌었을 경우나 개발중 테스트 환경이나 작업환경에 있어 폴더가 바꼇을 경우 이렇게 물리적으로 절대 경로를 지정했을 경우 그 디렉터리 명칭을 바꾸는 작업은 귀찮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작업을 다 하고나서 통합하는 때에 폴더명이 달라 에러가 나거나 하는 경우에는 그 불편함을 이루 말할 수 없다. 실질적으로 이렇다보니, 루트 폴더 하나를..
웹 사이트 접근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주고 받는 UserAgent 데이터에는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의 정보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윈도우 및 운영체제에 대한 데이터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UserAgent 에 포함된 운영체제 정보를 이용해 운영체제를 어느정도 판별(추정)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참고할 수 있을만한 윈도우즈(Windows) NT의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다. 그 외에 Windows NT 와 관련된 기타 사항을 참고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URL 링크를 참고해보기를 권장한다. - 윈도우 NT - 위키백과(한국어)
ASP.NET for C# 에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정보를 얻어오는 방법. 보통 asp.net 에서는 aspx 확장자의 웹 문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aspx 확장자와 aspx.cs 확장자가 하나의 문서로 엮이게 된다. HTML식의 화면 처리 부분은 aspx 에서 C# 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와 서버 연산 등의 프로그래밍적 처리는 aspx.cs 에서 하게 되는데, 바로 이런 C# 을 이용해 처리하는 부분인 aspx.c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해당 데이터를 얻어올 수 있다. HttpContext.Current.Request.UserAgent HttpContext 는 현재 웹 문서의 정보를 얻어오거나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담아놓은 클레스이다. 여기에서 Current 가 붙으면 현재 보여지고 ..
웹사이트에 접속시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브라우저에서는 특정 유저정보(클라이언트 정보)를 서버측에 전달하고, 클라이언트 역시 서버측의 정보와 페이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브라우저를 통해 화면상에 뿌려지게 된다. 이렇게 서로간에 전달되는 정보에는 해당 문서의 인코딩은 어떠한 것인지, 서버는 어떠한 환경인지, 클라이언트는 어떠한 환경인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캐치하여 확인함으로서 브라우저의 정보, 클라이언트의 정보, 브라우저가 돌아가고 있는 환경에 대한 분석을 해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주고 받은 응답 헤더 속에 들어 있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기기별, 브라우저별의 특정한 데이터를 수집, 선별해 낼 수 있다면 해당 데이터를 파싱하거나 문자열처리 과정등을..